Tuesday, November 1, 2011

D-3609 [천일야화 3]

It took longer than the others. Maybe I am getting bored of this endless story.
I am in the middle of the story, yet I am not looking forward the lest of the story.

I wonder it contains actual 1,001 nights units, because I have finished volume 3 which is ended with the 236th night. It is quite a quoter yet.

이번 책을 읽는데에는 이전의 두권 보다 좀 더 오래 걸렸다. 아마도 싫증이 나나보다. 이야기의 중간에 도달했는데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질 않다.

실제로 1,001밤의 이야기가 있을지 의문이 든다. 왜냐하면 총6권중 절반인 제3권까지 읽었는데, 이야기 상으로는 4분의 1일도 안돼는 236일째 밤으로 끝나고 있기 때문이다.

일련번호: 445

Wednesday, October 19, 2011

an answer

An answer for why I'm reading books is to study English.
This is for the books are labeled as OUP.
I want to enjoy in English literatures.
That's why I read OUP books.

왜 내가 책을 읽는지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은 영어 공부를 위함이다.
이는 OUP라는 라벨이 붙은 책들에 한한다.
나는 영문학을 즐기고 싶다.
그래서 OUP에서 나온 책을 읽는다.

D-3622 [NED KELLY]


The book reminded me two persons: one was someone who I knew personally. When I saw the picture of real Ned, I took a photo by iPhone and sent it to him. The other was a cartoon character. 깡통로봇 in Robot Taekwon V. Ned wore a rubbish bin as mask as 깡통로봇 wore a kettle. Both were looked silly to me in the same way.

이 책을 읽는 동안 두명이 생각났다. 한 명은 내가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라서 책 속에서 Ned의 실물 사진을 보았을 때,  전화기 사진기로 사진을 찍어 전송해 주었다. 또 생각나는 다른 인물은 로보트 태권 브이 속의 깡통로봇이다. Ned와 깡통로봇은 우습깡스러운 쓰레기 통과 주전자를 뒤집어 쓴다는 비슷한 점에서 연관이 되었던 것 같다.


일련번호: 332

Tuesday, October 18, 2011

D-3623 [14살 인생멘토]

This book shows 13 people who are good to be mentors for our children and youths.
The book collects these by the theme of "견리사의(見利思義):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의리를 생각함". Their lives and thoughts are challenging to me.

As an adult, I only know one of them. Even the one, I have heard about his name only, not his life neither his spirit.

이책은 우리의 아이들과 청소년들에게 멘토가 되기에 좋을 법한 인물 13명을 소개한다.
見利思義의 주제로 위인들을 설정했다. 이 사람들의 삶과 사상이 나에게 도전이 된다.
어른인 난, 겨우 1명만 안다. 아니, 그 한 사람마저도 이름만 들어 알뿐 그의 삶과 그의 정신에 대해선 무지했다.

일련번:443

a question

I've been asked the reason to read book once.
Actually, I had to ask it to myself.

"Why do I have to read books?"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정작, 내가 해야 했던 질문이다.

"왜 나는 책을 읽어야만 하는가?"

Saturday, October 15, 2011

D-3626 [4차원 인생의 힘]

This book is a sort of weird. It does not have a genre, I guess, it is a mixed of some genres; at first, I thought it was a self-development book then it turned into an autobiography and then becoming a sort of religious book. After all, I felt like it wa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for sermons or a pastor's preaching notebook.

Another funny thing about is that the author quoted himself in the book; this is his book. He could say whatever he wanted to say, but he put quotation as borrowing someone's authority or insights, in fact, it was himself.

이상한 책이다. 하나의 쟝르가 아닌 쟝르짬뽕이다. 처음엔 자기 계발서인 줄 알고 읽었는데 중간에 자서전으로 바뀌더니 나중에는 종교서적으로 변했다. 다 읽은 후 어느 목사의 설교공책을 읽은 것인지 설교 예화 모음집을 읽은 것인지 구분이 안될 정도 였다.

또 다른 웃긴 점은 저자가 자신의 책에 자신을 인용한다는 것이다.  이책은 그의 책이 아닌가! 저자는 자기가 쓰고 싶은 말을 쓰면 될텐데, 자신의 말을 인용한다. 마치 다른이의 권위나 영감을 인용하는 것 처럼 말이다.

일련번호: 442

Wednesday, October 12, 2011

D-3629 / [THE WIND IN THE WILLOWS]

This story begins with Mole and ends with Toad.

이 이야기는 두더지로 시작하여 두꺼비로 끝난다.

일련번호: 397